생활 팁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 방법 총정리! 개인사업자와 프리랜서 필수 가이드 2025

newworld72 2025. 4. 23.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 방법 총정리! 개인사업자와 프리랜서 필수 가이드 2025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이 시기에 국세청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면서 함께 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절차가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국세 신고만 하고 지방소득세는 간과하거나 자동으로 된다고 오해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의 개념과 정확한 신고 방법, 유의사항**을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이란 무엇인가요?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은 **국세인 종합소득세의 10%를 별도로 지자체에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 국세청에 신고하는 종합소득세와 달리, 이 세금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으로 쓰이기 때문에 별도로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 근거 법령: 「지방세법」 제103조의15
  • 대상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전원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임대사업자 등)
  • 세율: 종합소득세 산출세액의 10%
  • 납세지: 주소지 기준 지방자치단체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을 신고해야 합니다.

  • 국세청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개인
  • 사업소득, 근로 외 기타소득, 연금소득, 임대소득 등이 있는 자
  • 단순 경비율 또는 기준경비율 대상자 포함
  • 분리과세가 아닌 종합과세 대상자

중요: 국세청에만 신고하고 지방소득세 신고를 누락하면 **무신고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신고 및 납부 기간

  • 신고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납부기한: 2025년 5월 31일까지
  • 연장 신청 시 6월 30일까지 가능 (소득세와 동일 적용)

신고 방법 (인터넷, 방문, 위임)

1. 인터넷 신고 (위택스):

  • 1단계: 위택스 접속
  • 2단계: [지방소득세] → [종합소득분 신고] 클릭
  • 3단계: 공동인증서 로그인 → 자동으로 국세 신고 내역 연동
  • 4단계: 신고 내역 확인 후 제출 및 납부

2. 방문 신고: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시·군·구청 세무과**에 직접 방문하여 종이 서식으로 제출 및 납부 3. 세무사나 대리인 위임 신고: 세무대리인을 통해 국세 + 지방소득세 일괄 처리 가능

계산 예시

  •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확정 세액: 2,500,000원
  • 지방소득세: 2,500,000 × 10% = 250,000원
  • 2025년 5월 말까지 위택스 또는 관할 지자체에 납부

 

주의할 점 및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홈택스에서 소득세 신고했는데 자동 연동 아닌가요?
    A. 일부 자동 연계되지만, **최종 확인 및 납부는 위택스에서 별도 진행**해야 합니다.
  • Q2. 신고를 깜빡했어요. 어떻게 되나요?
    A. 무신고 가산세 20%와 납부 지연 시 하루당 0.025%의 지연 가산세가 추가됩니다.
  • Q3. 분납도 가능한가요?
    A. 네, 지방소득세도 분납 신청이 가능하며 관할 지자체에 요청하면 됩니다.
  • Q4. 국세 환급 받으면 지방소득세도 환급되나요?
    A. 별도 환급 절차가 필요하며 지자체에 신청해야 합니다.
  • Q5. 사업장이 여러 곳 있으면 어디로 신고하나요?
    A. 주민등록상 주소지 기준 지자체에 신고합니다.
  • Q6. 국세보다 지방소득세를 적게 내도 되나요?
    A. 아닙니다. 지방소득세는 종합소득세 산출세액의 10%로 정해져 있습니다.
  • Q7. 종합소득세 납부 유예를 받으면 지방소득세도 유예되나요?
    A. 유예를 신청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되나, 반드시 지자체에 개별 확인 필요합니다.

마무리 요약: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종합소득세 신고의 완성 단계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은 국세와는 별개로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함께 처리해야 합니다. 특히 위택스를 통한 별도 신고가 필요하므로 국세청 홈택스에서 소득세 신고만 하고 끝내면 안 됩니다. 납부 지연 시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 신고와 납부를 마치세요. 2025년에도 정확하고 불이익 없는 세금 처리를 위해 위택스를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 추천 글